美 연구팀, 3개그룹 21주 관찰
- 고지방식 체중 늘고 암위험 증가
췌장암 모델 생쥐 실험에서 고지방 먹이를 저지방 먹이로 바꾸면 체중 증가와 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암성 변화(암으로 발전하기 전 세포나 조직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변화)가 시작된 이후에도 췌장에서 일어나는 전암성 변화를 늦출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 데이비스) 헤라르도 매켄지 교수팀은 국제학술지 영양학 저널(Journal of Nutrition)에서 췌장암 모델 생쥐에 고지방과 저지방 먹이를 21주간 먹이며 변화를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비만은 이전 연구에서 췌장암 위험을 50%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췌장암의 주요 위험 인자로 꼽히지만, 체중 감소로 이어지는 식이 변화가 췌장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5주 된 췌장암 모델 생쥐 72마리를 3개 그룹으로 나눈 뒤 열량의 60%가 지방인 고지방 먹이와 열량의 11%가 지방인 저지방 먹이를 먹이며 췌장암 등의 진행을 관찰했다. 첫 번째 그룹은 21주간 고지방 먹이를 먹었고 두 번째 그룹은 저지방 먹이를 먹었다. 세 번째 그룹은 첫 8주는 고지방 먹이를 먹다가 13주 동안 저지방 먹이를 먹었다. 21주 후 고지방 먹이 그룹은 다른 두 그룹에 비해 체중이 1.7배 증가했고, 췌장에서 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세포 변화도 60%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지방 먹이 그룹에서는 췌장암 발생이 없었으나, 고지방 먹이 그룹에서는 2마리가 췌장암에 걸렸다. 특히 고지방 먹이에서 저지방으로 전환한 그룹은 체중이 정상으로 돌아왔고, 췌장 세포의 변화도 느려졌으며, 암도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또 고지방 먹이 그룹은 몸속에서 지방산(리놀레산)의 해로운 부산물이 증가하고 장내 미생물 환경도 나빠졌지만, 먹이를 저지방으로 바꾼 뒤에는 해로운 부산물이 줄고 장내 미생물 환경도 건강한 상태로 돌아왔다고 말했다. 매켄지 교수는 “이 연구는 과체중을 관리하는 것이 (암 예방 등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